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란 농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란 농구 국가대표팀은 국제 무대에서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나, 2007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60년 만에 출전했다. 2009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2연패를 달성했으며, 2010년 FIBA 농구 월드컵에 처음 출전했다. 2013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2019년 FIBA 농구 월드컵 예선을 통과하여 2020년 도쿄 올림픽에 출전했다. 주요 선수로는 하메드 하다디, 메흐디 캄라니, 니카 바라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농구 국가대표팀 - 필리핀 농구 국가대표팀
    필리핀 농구 국가대표팀은 아시아 선수권 대회 5회 우승 및 세계 선수권 대회 3위를 기록한 아시아 농구 강국으로, 프로 선수 참가 허용 이후 SBP의 지도력 하에 FIBA에 복귀, 2023년 FIBA 농구 월드컵 공동 개최 및 2022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아의 농구 국가대표팀 - 일본 농구 국가대표팀
    일본 농구 국가대표팀은 FIBA 아시아컵에서 두 차례 우승하며 아시아 농구의 강호로 활약했고, NBA 리거들의 활약으로 2023년 FIBA 농구 월드컵에서 아시아 최고 성적을 거두어 2024년 파리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 -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
    이집트 농구 국가대표팀은 이집트를 대표하여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아프리카 농구 선수권 대회에서 4번 우승하고 올림픽과 FIBA 농구 월드컵에 여러 차례 출전한 팀이다.
  •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 - 나이지리아 농구 국가대표팀
    나이지리아 농구 국가대표팀인 'D'Tigers'는 꾸준히 성장하여 해외파와 NBA 선수들의 활약으로 국제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월드컵과 올림픽 등 주요 대회에 꾸준히 참가, 특히 2020 도쿄 올림픽에서 미국을 꺾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으며, 정부 지원 부족 속에서도 아프로바스켓 우승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이란 농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란 슈퍼 리그 농구
이란 슈퍼 리그 농구 로고
코치소티리스 마놀로풀로스
FIBA 존FIBA 아시아
FIBA 가입 년도1947년
국가 연맹IRIBF
올림픽
출전 횟수3회
월드컵 (FIBA 농구 월드컵)
출전 횟수4회
지역 선수권 대회 (FIBA 아시아컵)
출전 횟수18회
메달[[파일:Gold medal asia.svg|16px]] 금메달: (2007, 2009, 2013)
[[파일:Silver medal asia.svg|16px]] 은메달: (2017)
[[파일:Bronze medal asia.svg|16px]] 동메달: (2015)
지역 선수권 대회 2 (아시안 게임)
출전 횟수12회
메달[[파일:Silver medal asia.svg|16px]] 은메달: (2014, 2018)
[[파일:Bronze medal asia.svg|16px]] 동메달: (1951, 2006, 2010)
유니폼 색상
몸통: ff0000, 반바지: ff0000
원정몸통: ffffff, 반바지: ff0000
메달 템플릿
아시아 선수권 대회금: 3, 은: 1, 동: 1
아시안 게임금: 0, 은: 2, 동: 3
FIBA 아시아 챌린지금: 3, 은: 0, 동: 0

2. 역사

이란 농구 국가대표팀은 1948년 런던 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으나, 조별 예선을 통과하지는 못했다. 이후 1951년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는 1973년에 처음 출전했다. 그러나 한동안 아시아 내에서도 상위권 성적을 거두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2000년대 중반부터 이란 농구는 아시아의 강호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 일본을 꺾고 동메달을 획득하며 가능성을 보였다. 이듬해인 2007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레바논을 결승에서 꺾고 사상 첫 우승을 차지했다.[1] 이 우승으로 이란은 60년 만에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본선 진출권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1] 베이징 올림픽 본선에서는 비록 전패했지만, 이 경험은 하메드 하다디와 같은 선수들이 NBA나 유럽 리그에 진출하는 발판이 되었다.[2]

이란은 2009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도 결승에서 개최국 중국을 누르고 2연패를 달성했으며,[3] 이를 통해 사상 처음으로 2010년 FIBA 세계 선수권 대회에 진출했다. 2011년 대회에서는 주춤했으나, 2013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개최국 필리핀을 꺾고 통산 3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2014년 FIBA 농구 월드컵 진출권을 따냈다.[4]

이후 2019년 FIBA 농구 월드컵에서는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하여 2020년 도쿄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으나, 본선에서는 3전 전패를 기록했다.

2. 1. 초기 (1948-2006)

1948년 하계 올림픽 농구 당시 이란 농구 국가대표팀


이란 농구 국가대표팀은 국제 무대 초창기에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가장 오래된 국제 대회 경험은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이었으나, 조별 예선 통과에는 실패했다. 1951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는 1973년에 처음 출전했다. 이후 한동안 아시아 무대에서도 상위권 성적을 거두는 경우가 드물었다.

2006년에는 일본에서 열린 기린 컵에 참가하여 1승 2패를 기록했다. 같은 해 도하에서 개최된 2006년 아시안 게임 농구에서는 일본을 꺾고 동메달을 차지하며 오랜만에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2. 2. 전성기 (2007-2015)

2006년 기린 컵 참가를 위해 일본을 방문하여 1승 2패를 기록했지만, 같은 해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는 일본을 꺾고 동메달을 획득하며 전성기의 서막을 열었다.

이듬해인 2007년, 일본 도쿠시마에서 열린 2007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이란은 "죽음의 조"에 편성되어 중국, 필리핀, 요르단과 같은 강팀들을 조별 예선에서 모두 꺾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중화 타이베이와 카타르를, 준결승에서는 카자흐스탄을 75-62로 완파했다. 결승에서는 레바논을 74-69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하메드 하다디가 31득점을 기록하며 승리를 이끌었다.[1] 이는 서아시아 팀 최초의 아시아 선수권 대회 우승이었으며, 이 우승으로 이란은 1948년 런던 올림픽 이후 60년 만에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1]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진출은 이란 농구에 큰 전환점이 되었다. 선수들은 올림픽 준비를 위해 미국 방문을 포함하여 전 세계를 돌며 경험을 쌓았다. 본선에서는 리투아니아, 러시아, 아르헨티나, 크로아티아, 호주와 함께 A조에 편성되었으나 5전 전패를 기록했다. 비록 승리는 거두지 못했지만, 이 올림픽 경험은 하메드 하다디가 NBA에 진출하고 주장 사마드 니크아 바흐라미가 프랑스 리그 최고 수준인 프랑스 리그와 계약하는 등 선수들의 해외 진출 기회를 열어주었다. 특히 하다디는 올림픽에서 경기당 평균 16.6득점, 11.2리바운드, 2.6블록을 기록하며 리바운드와 블록 부문에서 전체 1위를 차지했다.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에서는 21득점 16리바운드를 기록하는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2]

이란은 2009년 중국 톈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결승전에서 개최국 중국을 70-52로 꺾고 대회 2연패를 달성하며 아시아 최강의 입지를 굳혔다.[3] 이 우승으로 이란은 사상 처음으로 2010년 FIBA 세계 선수권 대회 진출권을 획득했다. 터키에서 열린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이란은 B조에 속해 1승 4패를 기록하며 최종 19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2011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8강에서 요르단에 패하며 2012년 런던 올림픽 출전권을 놓치는 아쉬움을 겪었다.

그러나 2년 뒤,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2013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이란은 다시 정상에 복귀했다. 결승전에서 상승세의 개최국 필리핀을 85-71로 꺾고 통산 3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 센터 하메드 하다디는 대회 MVP와 올스타팀에 선정되며 최고의 활약을 펼쳤고, 오신 사하키안 역시 올스타팀 파워 포워드 부문에 이름을 올리며 이란은 올스타팀에 두 명의 선수를 배출한 유일한 팀이 되었다. 이 우승으로 이란은 2014년 FIBA 농구 월드컵(구 세계 선수권 대회)에 2회 연속 진출하게 되었다.

2. 3. 최근 (2016-현재)

2019년 FIBA 농구 월드컵 예선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일본에 이어 예선 그룹 3위로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월드컵 본선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3전 전패를 기록했지만, 순위 결정 리그에서 2승을 거두었다. 최종 순위에서 중국을 득실차로 앞서 FIBA 아시아 가맹국 중 1위를 차지하며 도쿄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2021년 7월에 개막한 도쿄 올림픽 본선에서는 체코, 미국, 프랑스를 상대로 3전 전패를 기록했다.

3. 주요 국제 대회 성적

이란 농구 국가대표팀은 1948년 런던 올림픽에 처음 참가하며 국제 무대에 등장했다. 초기에는 국제 무대에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나, 2000년대 들어 아시아 농구의 강호로 부상했다.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주목받기 시작했고, 이후 FIBA 아시아컵(구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세 차례(2007, 2009, 2013) 우승을 차지하며 아시아 정상급 실력을 입증했다. 또한 아시안 게임 농구에서는 은메달 2개(2014, 2018)와 동메달 3개(1951, 2006, 2010)를 획득하는 꾸준한 성적을 보여주었다.

아시아 선수권 대회 우승을 바탕으로 올림픽 본선(1948, 2008, 2020)과 FIBA 농구 월드컵 본선(2010, 2014, 2019, 2023)에도 꾸준히 진출하며 세계 무대 경험을 쌓았다.

주요 국제 대회 메달 기록은 아래와 같다.

대회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FIBA 아시아 챌린지3003
FIBA 아시아컵3115
아시안 게임0235
합계63413


3. 1. 올림픽



이란 농구 국가대표팀은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지만, 조별 예선을 통과하지는 못했다.

이후 오랫동안 올림픽 무대를 밟지 못하다가, 2007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60년 만에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이란 팀은 올림픽을 준비하며 미국 방문 등 다양한 국제 경험을 쌓았다. 베이징 올림픽 본선에서는 리투아니아, 러시아, 아르헨티나, 크로아티아, 호주와 함께 A조에 속했으나 5전 전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며 1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 올림픽 경험은 하메드 하다디나 당시 주장이었던 사마드 니크아 바흐라미 같은 선수들이 NBA나 프랑스 리그 등 해외 리그로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하메드 하다디는 2008년 올림픽에서 경기당 평균 16.6득점, 11.2리바운드, 2.6블록슛을 기록했는데, 리바운드와 블록슛 부문에서는 대회 전체 1위를 차지했다.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에서는 21득점 16리바운드를 기록하는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2]

이란은 2020년 도쿄 올림픽에도 참가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3전 전패로 탈락하여 12위를 기록했다.

하계 올림픽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
1936 베를린불참
1948 런던13위 결정전14위725
1952 헬싱키불참
1956 멜버른
1960 로마
1964 도쿄
1968 멕시코시티
1972 뮌헨
1976 몬트리올
1980 모스크바보이콧
1984 로스앤젤레스
1988 서울불참
1992 바르셀로나예선 탈락
1996 애틀랜타
2000 시드니
2004 아테네
2008 베이징예선 라운드11위505
2012 런던예선 탈락
2016 리우데자네이루
2020 도쿄예선 라운드12위303
2024 파리예선 탈락
2028 로스앤젤레스향후 대회
2032 브리즈번
합계3회 진출15213


3. 2. FIBA 농구 월드컵

이란은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2010년 FIBA 세계 선수권 대회에 사상 처음으로 진출했다. 이 대회 B조에 속했던 이란은 1승 4패를 기록하며 최종 19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이후 세 번째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우승을 통해 2014년 FIBA 농구 월드컵 진출권을 확보하며 두 번째 월드컵 무대를 밟았다.[4]

FIBA 농구 월드컵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1950불참
1954
1959
1963
1967
1970
1974예선 탈락
1978불참
1982예선 탈락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예선 라운드24개 팀 중 19위514
2014예선 라운드24개 팀 중 20위514
201917–32위 순위 결정전32개 팀 중 23위523
202317–32위 순위 결정전32개 팀 중 31위505
2027미정
총합4/2020416


3. 3. FIBA 아시아컵

2007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이란은 중국, 필리핀, 요르단과 같은 강팀들과 한 조에 속했지만, 조별 예선 3경기에서 모두 승리하며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중화 타이베이와 카타르를 차례로 꺾었고, 준결승에서는 카자흐스탄을 75-62로 이겼다. 결승에서는 레바논을 74-69로 꺾고 우승했으며, 하메드 하다디가 31득점을 기록했다.[1] 이는 서아시아 팀 최초의 아시아 선수권 대회 우승이었으며, 이 우승으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1]

2009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는 중국 톈진에서 열렸으며, 이란은 결승전에서 개최국 중국을 70-52로 꺾고 대회 2연패를 달성하며 농구에서의 지속적인 발전을 보여주었다.[3]

2021년 이란 농구 국가대표팀, 스페인과의 친선 경기 중 타임아웃 모습


2013년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되었다. 이란은 결승전에서 상승세의 개최국 필리핀을 85-71로 꺾고 통산 3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2011년 대회에서 요르단에 패했던 아쉬움을 딛고 다시 아시아 정상에 선 것을 의미했다. 이 대회에서 이란의 센터 하메드 하다디는 대회 MVP를 포함하여 두 개의 상을 수상하며 최고의 선수로 인정받았다. 또한 오신 사하키안이 파워 포워드 포지션의 올스타로 선정되어, 이란은 올스타팀에 두 명의 선수를 배출한 유일한 팀이 되었다.

년도순위경기 수
아시아 선수권 대회 / 아시아컵
19735위1046
19818위734
19835위651
19858위624
19895위743
19916위844
19934위642
199510위853
19978위734
20035위743
20056위844
2007우승871
2009우승990
20115위981
2013우승990
20153위972
2017준우승651
20225위431
2025미정
합계18/311349044


3. 4. 아시안 게임

이란 농구 국가대표팀은 2006년 아시안 게임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농구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연도순위경기
19513위422
1954불참
1958
1962
19667위734
19707위862
19746위734
1978불참
1982
1986
19907위633
19948위624
19987위624
2002불참
20063위853
20103위862
2014준우승761
2018준우승431
20225위651
2026향후 대회
2030
2034
총합12/19774631


3. 5. FIBA 아시아 챌린지

wikitext

연도순위경기
2004 (타이완)참가 자격 획득, 기권
2008 (쿠웨이트)
2010 (레바논)6위734
2012 (일본)우승770
2014 (중국)우승761
2016 (이란)우승880
합계4/629245


3. 6. 서아시아 선수권 대회

연도순위경기
19994위413
20004위422
20013위422
2002준우승431
2004우승440
2005우승440
2008불참
2010우승 (B)330
2011우승330
2012준우승541
2013우승330
2014준우승 (U18)541
2015불참
2016우승440
2017준우승541
합계13/15524111


4. 주요 선수

다음은 이란 농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선수들이다.


  • 하메드 하다디
  • 메흐디 캄라니
  • 사마드 니크아바라미
  • 아르살란 카제미
  • 필립 자랄푸르
  • 베흐남 야흐찰리
  • 마이클 로스탐푸르
  • 아론 게라미푸르


다음은 2023년 FIBA 농구 월드컵 참가 명단이다.[5][6]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소속팀 (대회 이전)비고
G3모하마드 시나 바헤디2001년 1월 8일1.85m칼레
C4메이삼 미르자에이1992년 4월 16일2.08m칼레
G5사자드 마샤예키1994년 2월 23일1.8m조브 아한 이스파한
F6모하마드 아미니2005년 4월 26일2.01m낭시
SF7나비드 레자에이파1996년 8월 23일1.93m팔라예시 나프 아바단
PG8베흐남 야흐찰리1995년 7월 12일1.91m글래디에이터스 트레베스
SF10피터 기르고리안2002년 2월 27일1.99m마람 테헤란
PF14아르살란 카제미1990년 4월 22일2.01m조브 아한 이스파한
C15하메드 하다디1985년 5월 19일2.18m쓰촨 블루 웨일스주장 (C)
SG17마틴 아가잔푸르2001년 3월 14일1.98m칼레
PF30잘랄 아가미리2001년 1월 29일2.02m칼레
C32하산 알리아크바리1996년 7월 7일2.18m파르사


  • '''감독:''' 하칸 데미르 (터키)
  • '''코치:''' 알리 아르주만디 (이란)

5. 역대 감독

참고: 다음 목록은 완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이란 카젬 라흐바리 (1948)
  • 이란 호세인 수디푸르 (1966)
  • 루마니아 조지 치라레우 (1974)
  • 이란 모하마드 하산 졸파가리 (1981)
  • 이란 에나야톨라 아타시 (1983)
  • 이란 레자 에스마일리 (1985)
  • 이란 마지드 토피그 (1989)
  • 이란 아사돌라 카비르 (1990)
  • 소련 발레리 루니친 (1991)
  • 이란 아사돌라 카비르 (1993)
  • 러시아 비탈리 자스타호프 (1994)
  • 이란 마누체르 샤하마트네자드 (1995)
  • 이란 아흐마드 레자 엘리인 (1996)
  • 이란 사에이드 파티 (1997)
  • 이란 에나야톨라 아타시 (1998)
  • 미국 게리 르모인 (2000–2001)
  • 이란 사에이드 아르마가니 (2001–2002)
  • 이란 메란 샤힌타브 (2002)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네나드 트라지코비치 (2003)
  • 이란 모스타파 하셰미 (2003)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블라디미르 보슈냐크 (2004–2005)
  • 이란 모하마드 메흐디 이자드파나 (2005)
  • 나이지리아 프레드 오니가 (2006)
  • 세르비아 라이코 토로만 (2007–2008)
  • 세르비아 베셀린 마티치 (2009–2011)
  • 슬로베니아 메미 베치로비치 (2012–2014)
  • 몬테네그로 루카 파비체비치 (2015)
  • 독일 디르크 바우어만 (2015–2017)
  • 이란 메란 하타미 (2017)
  • 이란 메란 샤힌타브 (2018–2021)
  • 이란 모스타파 하셰미 (2021–2022)
  • 이란 사에이드 아르마가니 (2022–2023)
  • 튀르키예 하칸 데미르 (2023–현재)

참조

[1] 웹사이트 IRN/LIB – It's Iraaaaaan! http://www.fiba.com/[...] FIBA 2007-08-05
[2] 뉴스 Yao, Hamed, and Patty shined as stars from Asia & Oceania at the Olympics http://www.fiba.bask[...] 2021-07-21
[3] 웹사이트 Iran wins Asian Basketball Championships http://televisionwas[...] WashingtonTV 2009-08-17
[4] 웹사이트 Fan Thread http://www.persianfo[...] PersianFootball.com 2014-02-03
[5] 웹사이트 Announcement of the list of players of the national basketball team for the 2023 World Cup http://www.iribf.ir/[...] 2023-08-21
[6] 웹사이트 Team roster: Iran https://reports.worl[...] 2023-08-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